[Kubernetes] - QEMU/KVM 위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만들기 -3 ←
[Kubernetes] - QEMU/KVM 위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만들기 -2
[Kubernetes] - QEMU/KVM 위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만들기 -1
https://kubernetes.io/ko/docs/home/
쿠버네티스 문서 홈.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overview/what-is-kubernetes/
당연히 무엇을 배우는 것을 시작한다면 일단 이게 무엇인지 알아보고 시작하는 게 맞아요.
하지만 일단 시작 하고 이게 뭔지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때가 있어요.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라는 페이지를 읽고 든 생각이에요. 아마 대략 절반 정도 이해가 된 것 같요.
나머지 절반은 일단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해보고 이해하는 걸 노력해볼게요.
우선 아래와 같이 마스터 노드 1개와 워커 노드 3개로 구성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생성할 거예요.
쿠버네티스 설치
쿠버네티스를 프로덕션 수준의 환경으로 꾸미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것들을 염두에 두어야 해요.
우선은 쿠버네티스가 무엇인지 배우는데 목표를 두고 테스트용 클러스터 환경을 구성해봐요.
컨테이너 런타임
https://kubernetes.io/ko/docs/setup/production-environment/container-runtimes/
간단하게 말해서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관리해주는 앤데 일단 컨테이너를 돌릴 수 있어야 운영을 하던 관리를 하던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컨테이너 런타임을 먼저 설치해줘야 해요. 그리고 쿠버네티스 공식문서에서는 3가지 컨테이너 런타임을 소개하고 있어요.
- containerd
- CRI-O
- 도커
그리고 나는 나는 도커를 선택했어요.
그럼 도커 먼저 설치하고 오세요
그리고 컨테이너의 cgroup 관리에 systemd를 사용하도록 도커 데몬을 구성한다.
sudo mkdir /etc/docker
cat <<EOF | sudo tee /etc/docker/daemon.json
{
"exec-opts": ["native.cgroupdriver=systemd"],
"log-driver": "json-file",
"log-opts": {
"max-size": "100m"
},
"storage-driver": "overlay2"
}
EOF
일단 여기까지.